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시작합니다. <br> <br>정치부 송찬욱 기자 나와있습니다. <br> <br>Q. 대통령실과 정부, 권력기관까지 요직에 검찰 출신이 많다는 지적이 야권을 중심으로 나오고 있어요? 대통령실은 이에 대해서 어떤 입장인가요? <br> <br>윤석열 대통령이 늘 강조하는 단어가 있습니다. <br> <br>먼저 들어볼까요. <br> <br>[윤석열 대통령(지난해 6월 29일, 대선 출마 선언)] <br>"국민들의 [법치]와 상식을 되찾으라는 여망을 외면할 수 없고…." <br> <br>[윤석열 대통령(지난 3월 10일, 대선 당선 인사)] <br>"[법치]의 원칙을 확고하게 지켜나가겠습니다." <br> <br>[윤석열 대통령(지난달 12일, 첫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)] <br>"손실 보상을 제대로 해주지 않는다면 진정한 [법치]국가라고 보기 어렵습니다." <br> <br>법치에 대한 확고한 의지와 연관이 있다는 것이 대통령실의 설명입니다. <br><br>그러나 대통령실 관계자는 "그동안 법 규정보다는 대통령 말 한 마디에 좌지우지되는 임의적 통치, 권력남용이 문제가 돼왔다"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그러면서 "법 전문가의 기용은 윤 대통령의 법치주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"이라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Q. 이번에 논란이 다시 불거져 나온 것이, 국가정보원 조직과 예산을 총괄하는 기획조정실장에 검찰 출신이 임명되면서잖아요? 국정원에까지 검찰 출신이 갈 필요가 있을까 의문도 있을 거 같은데요? <br> <br>야당의 공격 포인트죠. <br><br>자신의 최측근을 국정원 기조실장에 임명해서 국정원을 장악하겠다는 의도가 아니냐는 건데요.<br> <br>이에 대해 대통령실은 "문재인 정부도 국정원을 장악하려고 했냐"고 반문합니다. <br><br>문재인 정부 초대 국정원 기획조정실장은 문 전 대통령의 측근인 검찰 출신 신현수 전 민정수석이 맡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후임 역시 검찰 출신 이석수 전 특별감찰관이었습니다.<br> <br>민주당의 비판이 윤 대통령의 인사를 악의적으로 비판하기 위한 정치 프레임에 불과하다는 반응입니다. <br> <br>이번에 국무총리 비서실장으로 임명된 박성근 변호사 역시 검찰 출신이었는데요. <br> <br>대통령실은 한덕수 국무총리가 노무현 정부 총리였을 때 총리실에서 함께 일한 오랜 인연으로 한 총리가 추천한 인사라는 설명입니다. <br> <br>Q. 대통령실의 설명이 그렇다면, 왜 이렇게 검찰 출신이 많다는 얘기가 나오는 걸까요? <br> <br>대통령실에서 기존에 검찰이 맡지 않던 자리를 검찰 출신들이 꿰찬 것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. <br><br>대통령실의 살림을 책임지는 윤재순 총무비서관, 정부 인사를 담당하는 복두규 인사기획관 이원모 인사비서관, 그리고 강의구 부속실장, 모두 검찰 출신입니다.<br> <br>물론 과거 정부에서도 총무비서관이나, 인사 관련 비서관, 부속실장 등은 대통령의 측근이 주로 맡았는데요. <br> <br>검찰 출신 대통령이다보니, 과거 손발을 맞춰본 사람을 중용하는 윤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에 따라 검찰 출신이 전면 배치된 것으로 볼 수 있는 거죠. <br> <br>Q. 검찰 출신들이 이렇게 전면에 나서는 것 어떤 부분이 문제일까요? <br> <br>물론 야당의 비판도 대통령이 새겨들을 필요가 있겠죠. <br><br>민주당 관계자는 "대통령과 인연이 있는 측근들만 기용을 하고 있다"며, "대통령실과 검찰, 국정원이 모두 검찰 출신 원팀이 돼서 잘못을 눈감아주게 되면 부작용이 생길 수밖에 없다"고 지적했습니다.<br> <br>대통령실에서도 검찰 출신이 다른 정부 때보다는 많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 하는 것은 아닌데요. <br> <br>그러나 '능력 위주 인사'를 강조해왔던 만큼 검찰 출신 인사들이 대통령실 얘기대로 능력을 정말 발휘할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.